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127

소프트웨어 개발자, 신입사원 교육. 어떻게 해야할까? 교육. 교육은 어렵다. 내가 성장하는 게 아니라, 남을 성장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하지 않으면 아무리 옆에서 잘해줘도 소용이 없다. 옛날에는 답답했다. 일이 너무 많고 바빴다. 그래서 내가 직접했다. 가르칠 시간이 없었다. 그랬더니 여전히 나 혼자서만 일하게 되었다. 2명 이상 해야 하는 일이 오면 못한다고 튕겨내거나, 1달치 일을 2달로 늘려 잡았다. 병렬방식이 아니라 직렬방식으로 일한 것이다. 1년쯤 되니까 죽을 것 같았다. 올해 한 것을 내년에도 반복한다고 생각하니, 갑자기 암울해졌다. 나는 계속 도전하고 변화하고 싶었다. 이런 건 나랑 맞지 않았다. 대타를 길러야 했다. 어쩔 수 없이 교육이란 걸 시작하게 되었다. 가르치면 돼 ? 처음엔 적당한 사람을 데려다 놓고 가르쳤다. 그런데, 태도.. 2019. 9. 5.
불난 프로젝트, 불끄러 가보기 소스 분석 소스를 주욱 흝어본다. 어플리케이션 구조를 역컴파일 해본다. 왜 그 모듈을 그렇게 나누었는지 이해해본다. 엇, 저건 뭐지? 저렇게 했을리가 없는데. 자세히 들여다 본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 소스의 업데이트 날짜를 본다. 사람들에게 물어본다. 이 때쯤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무슨일이 있었단다. 짐작해본다. 아, 그래서 이렇게 처리했구나. 무슨일이 없었단다. 일단 마크를 해둔다. 그런 게 여러 경우가 보인다. 뭔가 공통점이 있다. 급하게 메꾼 자국들이다. "이 조직은 마구잡이로 일을 주는구나." 그런 게 몇개 안보이고, 공통점 없이 서툴러보이기만 한다. "그냥 초보자를 데려다 짜게 했구나." 여긴 신입사원들을 돌보지 않는구나. 소스를 전혀 고친 흔적이 없다. "이 조직은 소스까진 관리하지 .. 2019. 8. 23.
레거시 운영개발팀을 수습하다. 이건 꽤 오래전, 어떤 조직에 불끄러 들어갔을 때 이야기다. Red Zone 조직 피로도를 낮춰야한다. 맨날 밤늦게 퇴근하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이대로는 피로도가 높아서 언젠가 빵하고 터지고 만다. 빵하고 터지면 "조직노하우"는 제로가 되고 만다. 매번 제로에서 새출발 할 수는 없다. 탑을 높이려면 계속 남이 쌓은 일에 뭔가를 더해가야 한다. 가장 급한게 "조직피로도"를 낮추는거다. 피로도를 낮추려면 "적시퇴근"을 시켜야 한다. "정시퇴근"까진 못해도 몸이 달궈지기 전에 퇴근시켜야 했다. 그러려면 업무량을 자르거나 일정을 당기고 미룰 수 있어야 한다. 음, 그걸 조직에 어필할 수 있을까? 조직이 그런 딜을 받아주려면 믿음이 필요했다. 내가 펑크를 내지 않을 거라는 믿음. 일정은 고객합의까지 필요했기 때.. 2019. 8. 19.
어둠의 개발자, 빛의 개발자 스타트업 닷컴버블 때 회사를 만들었다. 코파운더로 초창기부터 일을 했다. "반응형 VR 기술을 이용한 전세계 여행지 100선" 1년반을 투자해 인터넷서비스를 만들었다. 네트워크가 좋지 않을 때라 데모CD로도 만들었다. "라이코스" 사장에게 시연을 했다. 놀라워했다. 그는 "글로벌 사장단 회의"에서 직접 이 CD를 시연했다. 32개국 중에서 5개국 사장이 동시오픈을 하겠다고 손을 들었다. 대성공이었다. 하지만 돈을 벌진 못했다. 우리 사장이 어려서, 팅기다가 판이 다 깨져버렸다. 3년만에 회사를 접었지만, 이때의 경험은 나에게 "성공경험"으로 자리잡았다. 참고로, 뜨는 회사를 어떻게 돈으로 만드냐. 이건 완전히 다른 문제다. 다양한 투자기법들이 들어간다. 나중에 이야기할 기회가 있을거다. 논점이 아니므로 .. 2019. 8. 12.
대안을 이야기해줘. 내가 어떻게 할까?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팀장을 치받았다. 나에게 질문이 던져졌다. 팀 : "그래서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뭐야?" 나 : "그렇게 하면 안되고, ... 주절주절..." 팀 : "알았어, 그래서 넌 어떤 선택을 할거야?" 나 : " !!! " 멈칫했다. 나보고 결정하라니. 나는 결정을 해본 적이 없다. 책임을 져본 일이 없다. 책임을 지는게 무섭기도 했지만, 내 이야기대로 했을 때 문제가 클리어 된다고 확신하긴 어려웠다. 나는 그냥 그게 옳다고 생각한거다. 한발 물러섰다. "그건 팀장님이 알아서..." 에이~ 쪼다발언. 팀장은 내 발언을 무시했다. 하고 싶은대로 했다. 졌다. "이렇게 하시죠." 자꾸 치받다 보니 요령이 생겼다. 다행히 팀장은 내 제안을 받아줬다. 많이 받아줄 때도 있었고, 적게 받아줄 때.. 2019. 7. 28.
인터넷서비스와 앱. 어떻게 창작할 것인가? 창작은 다분히 "국어적"이다. 구조화시키고 정리하는 건 "이과적"이지만, 탄생시키는 건 확실히 "문과적"이다. "인터넷 서비스"는 "진통제"와 "비타민"으로 나뉜다. "진통제"는 불편을 개선하는 거다. 그러니 불편사항을 잘 듣고 인터넷으로 구현하면 된다. "요구사항 분석"과 "인터뷰"가 중요하다. "비타민"은 다르다. 비타민은 철저한 "킬링타임"용이다. 사람은 24시간 긴장한채 살 수 없다. 집중해 있는 몇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잡스런 생각으로 시간을 보낸다. "비타민"은 그런 시간을 위한거다. 그래서 "창작"이 중요하다. 창작은 심리분석이 필요하다. 사람을 읽어야 "창작"이 나온다. 인터넷서비스도 마찬가지다. 구독형 모델 "인터넷서비스"는 지속성이 중요하다. 지속하려면 수익도 지속적이어야 한다. 다.. 2019. 7. 18.
블로그 만들어도 안보는 이유 말을 바꿔도 된다. "내 서비스를 만들어도 사람들이 안보는 이유" "내가 앱을 만들어도 사람들이 사용 안하는 이유" 컨텐츠 컨텐츠는 아무나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좋은 컨텐츠는 아무나 만들 수 없다. 좋은 컨텐츠는 읽을만하고 재미있다. 일반 컨텐츠는 읽다말고 넘기게 된다. 아무렇게나 만들어도 컨텐츠이긴 하다. 다만 아무것도 아닌 컨텐츠 취급을 받다. 모든 컨텐츠는 아무것도 아닌채로 태어난다. 사람들에게 많이 읽힐수록 좋은 컨텐츠다. "좋다"라는 반응을 해줄수록 좋은 컨텐츠다. "컨텐츠"에는 "앱"이나 "서비스"까지 포함된다. 서비스를 오픈해보면 안다. 인터넷의 세계를 외롭고 고독하다는 것을. 검색엔진 검색엔진이나 매칭엔진은, 사람이 찾는 것을 보여준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건 먼저 보여주고, 아닌 컨텐츠.. 2019. 6. 28.
창업하기 전에 꼭 먼저 해봐야 할 것 “그렇게 자신 있다면, 블로그나 카페라도 먼저 해보지 그래?” 창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다. 가장 많이 해주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요즘은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투자자들은 관심이 없다. '아이디어만 가지고 시작하는 곳은 성공확률이 몇 %다.' 이미 투자시장에는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 당신도 그 확률 속에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두가지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시장이 반응하는가? 여기서 모객수는 중요하지 않다. 예선전이니까 말이다. 1천만명이 목표라면 블로그로 1천명이라도 모아본다. 꼼수맞팔하라는 거 아니다. 100명도 모이지 않으면 고민해봐야 한다. 보통 1천명 정도를 의미있는 숫자로 본다. 경험적인 수치니까 상황마다 다르다. 블로그로는 캐치할 수 없는 사업모델이라고? 그럼 캐치해 볼 수 .. 2019. 5. 20.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할까, 잘하는 일을 해야 할까? 창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이야기해보자. 돈? 너무 쉬운 이야기다. 당연히 있어야 한다. 그 다음 이야기를 해보자. 사람? 그것도 당연히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 두가지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뭘까? 바로 당신이다. 내가 준비되지 않으면 아무리 멋진 일도 시작할 수 없다. 그럼 무엇이 준비되어 있어야 할까? 이 두가지는 체크해봐야 한다. 첫째, 내가 잘하는 일이어야 한다.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할까, 잘하는 일을 해야 할까?” 바보 같은 질문이다. 둘 다 잘해야 된다. 그래야 100점이다. 물론 세상을 반드시 100점으로만 살 필요는 없다. 60점으로 살아도 된다. 단지 보상이 조금 적을 뿐이다. 단, 60점이어도 "좋아하는 일" and "잘하는 일"이어야 한다. 미치도록 좋아할 필요는 없다. 싫어하.. 2019.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