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개발일지10 Flutter, 며칠 째 구조로 고민 중 (AI와 함께 개발) 서버랑 API를 주로 만들다 앱을 처음으로 만들다 보니,Widget 개념이 익숙하지 않다.JavaScript 와 비슷한데 좀 많이 다르다. 긴 세로페이지를 첫화면으로 잡고,카드 여러장을 세로로 나열한 UI를 잡았다.카드 안에는 여러 종류의 정보를 넣을 예정이다. 그래서 긴 세로페이지를 Widget 하나로 잡고,구성요소는 Class 로만 선언해서 화면을 그리게 했다.서버에선 로직별로 분리하니까, 이게 맞는데... 하다보니 카드별로 화면을 업데이트 하는 일이 발생한다.데이터 갱신을 해야 하니까. 로직처리기가 변경 내용을 Noti 하고,Top Listener가 해당 카드에 내용을 전달하면,해당 카드가 변경여부를 Listen 하다가,메시지가 들어오면 카드를 새로 그리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랬더니 Class를 .. 2024. 12. 27. 추상화, 리팩토링 중 느낀 점 (AI와 함께 개발) 기본사용자는 약통을 산다.- 7일짜리, 14일짜리 등이 있다.- 하루에 3번 먹는 것도 있다. 사용자는 처방전을 받는다.- 병원, 의사로부터 처방을 받는다.- 장기복용약의 경우, 다음에 올 때까지 딱 맞아떨어지는 약수를 처방받는다. 각 약들은 대응증상, 기전효과 등이 있다.- 전체 일수, 남은 일수가 관리되어야 한다.- 약이 다 떨어질 때쯤 병원예약을 해야 한다. 세로 화면을 만든다.- 약통을 선택하면 해당 날짜에 먹어야 할 약들이 뜬다. 간단히 기본 시나리오를 세웠다.그런데 너무 대충 시작했다.약통과 약통셀과 약보관함, 약목록, 처방전 등이 헷갈리기 시작했다.어떤 걸 합치고, 어떤 걸 나눌까 고민이 된다. 추상화 넣었다 뺐다를 해본다.추상화를 통해 User를 확대해본다.복잡하다. 당장은 나 혼자만 쓰자.. 2024. 12. 10. 두 번째 앱 개발 시작 (AI와 함께 개발) 디지털 약통앱 개발.꿈은 원대하나 이것부터 시작. 내가 쓰고 싶어서 만들고 싶었던 앱이라,역시 남 시키는 것보다는 직접 만드는 게 좋음.마음도 편하고... 개발도구들Notion, StarUML, Figma 등을 한참동안 만지작 거렸는데,뭔가 정리가 안되어 그냥 개발을 시작. 툴이 중요한 게 아니라 내가 무엇을 만들지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게 중요함.그러면 저런 게 없어도 어딘가엔 정리하고 화면을 그리고 설계를 했을테니.물론 Notion 이 Google Docs 나 Confluence 보다 훨씬 더 편하고 풍부해서 좋다. StarUML은 구형 평가판을 구해서 사용.웹 버전이 없을까 싶어 app.diagrams.net 을 써보는데,"Drawing Object"들이 편한 맛이 없어서 불편.몇 번 찔끔거리다 말.. 2024. 11. 28. Flutter : 나를 괴롭혔던 SDK Version 불일치 SDK XML version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flutter build apk --debugWarning: SDK processing. This version only understands SDK XML versions up to 3 but an SDK XML file of version 4 was encountered. This can happen if you use versions of Android Studio and the command-line tools that were released at different times. 프로젝트 내내 나를 괴롭혔던 SDK XML version 문제.뭐. 별 이상없이 작동을 해서 원인을 분석해볼 생각을 못했다. 그러다 마음을 잡고, 플러터로 빈 프로젝.. 2024. 11. 6. Flutter로 앱개발 시작하기 힘들어서 개발일지라도 써야겠다. 앱개발을 시작한 계기나이가 들수록 내 것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가시질 않는다.음악인들의 "저작권료" 같은 거 말이다.내가 창작 해서 직접 처분할 수 있는 "지적자산"이 있어야 한다. 글 같은 거 말고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고 싶었다.직장생활은 기술노동력을 파는 거라 나이가 들면 계속하기 힘들어진다.움직일 수 없으면 결국 돈이 돈을 벌어야 한다. 이런 일을 시작할 땐 레드오션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가장 손에 잡기 좋은 게 앱이다. 그런데 앱은 해본적이 없다.서버 일은 오래 했지만, 웹을 안한지는 오래되었다.십여 페이지 정도는 만들어 쓰기도 했지만, 본격적으로 만드는 건 좀 다른 일이다.아키텍쳐와 구조, 유지보수까지 생각해야 하니 말이다. Flutter그래서 새로운 언어를 .. 2024. 11. 1. Copilot 쓰면서 아쉬웠던 점 : Flutter 코딩하기 AI 와 함께 코딩하기뻔히 보이는 코드 그냥 바꾸어도 되는데, 혹시 싶어 LLM 에다 던져본다.Window Copilot, 뤼튼, Perplexity, ChaGPT, Cloude... 유료모델을 안써서 그런지, LLM이 요구를 넘어선 코드까지 만들어 준다.핵심 알고리즘만 만들어 주면 되는데 ... 요청사항을 자세히 안써서 그런가?열심히 구체적으로 써본다.프롬프트가 많이 길어진다. 그런데, 세부항목은 논리충돌이 조금 있는 것들.내가 보기에도 뭔 말인가 싶다.에라 모르겠다.정리하기 귀찮지만, 원하는 건 맞으니 요청함. 그런데 LLM이 그걸 무시하고 자기가 해석한대로 코드를 뱉아낸다.아이 참. 프롬프트를 하루종일 바꾸어봐도 이 할루시네이션이 극복이 안된다. 조금 실수를 하니, LLM별로 다른 설계를 뱉어낸다... 2024. 9. 13. 한달 동안 AI와 함께 Flutter앱을 개발하면서 느낀 점 Flutter 앱을 하나 만들고 싶어, AI와 함께 코딩을 해보고 있다.유료버전이 아니어서 그런지 생각보다 쉽지 않네. 1. 기간 : 한 달 정도2. 코드량 : 간단한 계산기 앱 하나3. 사용한 것 : 다 무료버전이긴 하나... - ChatGPT - Cloude - 뤼튼 - MS Copilot - Explorer Copilot 아직 개발이 많이 남아 있지만, 느낀 점을 간단히 정리.1. 스케치 버전 짜는 건 정말 빠름- 주루룩 Skeleton Code 를 다 짜줌.- 그래서 첫시작을 하기 편함.- 다만, 무료 버전이라 그런지 옛날 버전으로 코드가 나옴.- deprecated 된 function 들이 많아서 다시 검색해야 함.2. 검증하거나 고치려면 결국 Flutter 문법과 작동원리를 .. 2024. 8. 29. MySQL Error 1206, 데이터 엔지니어의 눈으로 바라보기 ★ 부제 : 데이터엔지니어와 데이터분석가의 경계 “The total number of locks exceeds the lock table size”락의 총합이 락테이블 사이즈를 초과했다.무슨 뜻일까?냉큼 buffer_size를 늘이라고 해서 늘린다면 바로 사고다.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한 번 고민해보자. 언제 생길까?create table Temp_Tableselect * from You_Tablewhere id > 1000;회원정보 테이블에서 1,000 번 이상인 사람들만모아서 새로운 테이블로 만들고 싶을 때 쓰는 SQL문이다. create table 하려고 스키마를 일일히 타이핑할 필요가 없다.쪼끔 편하다. Table을 정식으로 만들땐 쓰지 않는다.실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냥 잠깐 데이터조작을 해.. 2020. 7. 20. cron 작업 걸기, log 파일 0 byte 문제 shell script 작업할 때 - chmod a+x abcd.sh ( All eXecutable 하게 세팅해줄 것 ) crontab 설계 - cron 작업을 root 에다 모아서 걸수도 있지만, user account 별로 cron 작업을 걸도록 유도함. - user 별로 crontab 작업을 나누면, 작업의 소유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user 계정에서 crontab 걸때 shell 명령어 및 로그파일의 위치는 모두 full path 로 기입할 것 crontab 에 걸어놓은 log 파일의 size가 0 byte 로 남을 때 - 실행시킬 shell script 첫째줄에 "#!/bin/bash" 이 적혀있는지 확인할 것. - shebang 이라고 "지시자" 역할을 하는 거임. 저거 없으면 she.. 2020. 3.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