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6

제로페이 잘 될까. 솔직히 걱정된다. 제로페이.소상공인들의 수수료를 없애주겠다는 거다.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모르는 사람을 위해 설명을 해보자. 현재 구조사용자가 카드로 1만원을 결제한다.그런데 수익을 판매자가 다 먹지 못한다. 카드사가 약 2% 정도를 떼어간다.(상황별로 수수료율이 다르다.) 이 수수료는 카드사가 "징수대행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받는거다.소비자 연체위험까지 책임지니까 아마 적당하다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소비자가 어떤 카드로 결재할지는 모른다.그래서 어떤 카드로 결제하더라도 가능하도록 중개회사가 생겼다.VAN사다. (Value Added Network)VAN사는 카드사에게 혜택을 주는 거라 카드사 수수료의 10%를 먹는다. 그리고, 카드결제가 되려면 카드 단말기가 있어야 한다.요즘은 POS 통합형이다. 어떤 건 키오스.. 2018. 12. 20.
위험의 외주화. 효율과 효과 사이 "2018년 12월 11일 한국발전기술 소속 계약직인 OOO 씨가 석탄이송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졌다."이 기사를 읽고 참 슬프고 화가 났다. "한국발전기술(주)" 은 "한국서부발전소(주)"의 설비운영을 맡고 있는 회사이다.그런데 왜 발전소는 이 일을 직접 안하고 외주회사에게 맡겼을까?자기 일이면서 1년 365일 해야 하는 일인데도 말이다. 혹시 출자구조에 문제가 있는걸까?하지만 그 전에 이게 왜 문제가 되는지를 정리하고 싶었다.딱히 들어야 할 사람은 없지만 푸념이라도 하고 싶다. 위험의 외주화 자신들의 본업을 외주업체에 맡기면 진화발전은 불가능하다.본질적인 개선의견은 회사가 달라서 전달되지 않는다. 배신을 막기 위해 거부할 수 없는 노예계약도 한다.경쟁업체에 정보가 넘어가는 걸 막기 위해서다.하지만 .. 2018. 12. 17.
디지털오션, 가벼운 클라우드 서버로 추천함. 클라우드 서버.글로벌 서비스를 하려면 두말 없이 AWS 나 구글 것을 써야 한다.다른 서버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동영상이나 고화질 이미지를 생각한다면, CDN은 서비스 성장기에 있어 필수요소이다. 하지만, 파일럿용으로 쓰거나 교육용으로 쓰기에는 조금 비싸다.무료로 쓰고 있다면 당연히 그걸 쓰겠지만, 그런 게 없다면 이 서비스를 생각해볼만 하다.5 달러짜리 요금제가 있기 때문이다. 재미난 건 시간당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일 저렴한 경우 시간당 0.007달러 = 8원 정도 되니까, 하루에 192원이다.잠깐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기엔 최고다.아직 Linux 서버만 제공하고, MS Windows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참고로, digitalocean 은.. 2018. 12. 14.
유튜브 브랜드 채널 만들기 ※ 부제 : 구글 채널 이름 바꾸는 방법 "메이커스"가 되면 제품홍보를 해야 한다.이 때 보통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다. 영상만큼 정확한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마케팅 업체에 맡길 수 있지만, 채널 개설은 직접 해야 한다.업체에겐 채널운영권한만 한시적으로 넘겨주는 거다. 그런데 유튜브에 로그인 하면 구글 기본계정으로 접속된다.기본적으로 내 이름이 채널이름이다.회사 이름으로 바꾸면, 개인 프로파일이 회사이름으로 바뀌게 된다.그러다보니 어쩔 수 없이 신규가입을 한 번 더 하기도 한다.두번 로그인 해야 하고, 어떤 경우는 비밀번호를 조력자와 공유해야 하니까 관리가 더 까다로와진다. 하지만, 유튜브는 신규가입을 하지 않고, 별도 채널을 추가할 수 있다.정확히는 "브랜드 계정"을 추가한다고 말한다.내 계정 밑으로 ".. 2018. 12. 9.
성공보다 생존 스토리에 집중하자. "초보창업가라면 성공스토리보다 생존스토리에 집중하자." 컨퍼런스에 가면 발표자는 자신들이 얼마나 놀라운 기술을 사용하는지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는지 자랑한다. 처음 듣는 사람은 감명을 받고 놀라워 한다. 그들의 이야기는 맞는 이야기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자랑이다. 자랑은 과장되어 있다. 목적은 극적인 스토리를 만들어 팬을 확보하는 것이다. 당신이 팬이 되어주길 바라는 것이지, 당신이 고민하는 바를 해결해주지 않는다. 창업을 꿈꾸는 많은 이들이 컨퍼런스를 돌아다닌다. 그들의 이야기에 매료된다. 그래서 사업을 하지 않고 '사업가 놀이'를 먼저 배운다. 해커쏜에서 만난 한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는 대학졸업을 앞두고 창업을 하고 싶어했다. 아이템 수집을 위해 컨퍼런스를 돌아다니다.. 2018. 12. 7.
스타트업, 핵심인재를 어떻게 모을수 있을까? “우리, 생활자전거로 서비스를 한번 만들어 볼래?”협회장 한 분을 소개 받았다. “네, 같이 한 번 해보시죠.” 막상 함께 일을 시작하니 말이 좀 이상하다.“이렇게 하면 되고, 저렇게 하면 되고.”음, 나보고 어쩌라는거지?좋다는 말만 늘어놓을 뿐 정작 당신은 움직이지 않았다.아무도 일을 하는 사람은 없었다. ‘뭐지? 나보고 일을 하라는건가?’아쉽게도 그렇게 삽질만 하다 몇 달을 허비했다. “땡땡 반도체를 만들어서, 전세계 시장을 다 먹을거야.”허무맹랑한 이야기다.“이제 곧 컴퓨터의 시대가 올거야. 반도체 사업을 지금 시작해야 해. 언젠가는 모든 전자제품이 우리 반도체를 쓰게 만들고 싶어.”비전이다. 생각보다 사람들은 두개의 차이점을 재빨리 알아차린다.차이점이 뭘까, 어떻게 알까?허무맹랑한 이야기엔 욕심만.. 2018. 12. 5.
고객과 사용자는 다르다. 고객과 사용자 고객. Customer 돈을 내는 손님, 제품을 직접 구매하는 사람이다. 사용자. User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고객과 사용자는 같은 사람이다. 하지만, 제품에 따라서 고객과 사용자는 다르다. 장난감을 생각해보자. 장난감은 아이들이 가지고 놀지만, 엄마가 사준다. 아이들이 사용자이고, 엄마가 고객이다. 그래서 아이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동시에 이 장난감이 얼마나 아이들에게 좋은지 엄마에게도 알려줘야 한다. 아이들도 만족시켜야 하고, 엄마도 만족시켜야 한다. 장난감만 그럴까? 학생들이 쓰는 교통카드도 그렇다.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있는 관계에서는 흔히 발생한다. 선물의 세계도 그렇다. 사랑하는 애인에게 줄 선물. 친구에게 줄 생일선물. 모두 마찬가지다... 2018. 11. 30.
사업에도 레벨이 있다. 게임의 규칙 사업에는 레벨이 있다. CEO에게도 레벨이 있고, 회사에도 레벨이 있다. 레벨이 있다는 것은 레벨업을 한다는 뜻이다. 시간이 흐르고 경험이 쌓이면 레벨업을 한다. 그것은 특정 레벨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마치 온라인 게임과 비슷하다. 규칙들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캐릭터는 1레벨부터 시작한다. - 1레벨은 기본적인 능력만 있다. 걸을 수 있고 사람을 만날 수 있다. - 그리고, 주먹과 돌도끼를 이용해서 사냥을 한다. - 경험이 쌓이면 레벨업을 한다. - 보상으로 “능력치”라는 것이 생기는데, 힘, 지식, 스테미너 등에 투자할 수 있다. - 힘을 올리면 무기와 방패를 들 수 있고, 지식을 올리면 마법을 배울 수 있다. 어떤가? 현실사회와 비슷하지 않나. 사업도 마찬가지.. 2018. 11. 28.
나이 든 개발자는 무엇으로 살아야 할까? 30대 개발도 노가다 못지 않은 체력전이다. 정확히는 앉아서 하는 육체노동이다. 눈과 뇌의 가동률을 120%로 끌어올리는 정신노동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직업도 질병에 많이 시달린다. 젊을 땐 문제가 없지만, 나이가 들면 생긴다. 기본이 약한 부품들부터 하나둘씩 망가진다. 대부분 만성질병들이라 치유도 쉽지 않다. 젊을 땐 체력을 갈아 넣어서 프로그램을 한다. 그래도 에너지가 남는다. 일을 곱씹으면서 술에 떡이 되어도 다음날 출근할 수 있다. 며칠 밤을 새워도 하루만 쉬면 출근할 수 있다. 멘탈이 쪼개지지만 그래도 월급은 나온다. 40대 그런데, 40대 중반을 넘기면 그렇지 않다. 하루밤을 새고 나면 2~3일을 헤롱된다. 당뇨, 통풍, 고지혈증이 함께 찾아온다. 체력을 아무리 잘 관리해도 젊은이들보다 비교.. 2018.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