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베테랑에겐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창업초보에게는 너무 헷갈린다.
투자계획서를 받아보면 제대로 된 사업계획 없이 미사여구로만 치장되어 있다.
아주 자주 본다.
그래서 정리해 보았다.
(사진 @Pixabay)
배달의 민족
“배달의 민족이 네이버로부터 350억을 투자받았대.”
“우와~ 축하해. 이번에 투자 받아서 부자되었겠네?”
스타트업이 투자받는 걸 부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부럽다.
투자를 못받는 것보다 받는 것이 훨씬 더 부럽다.
하지만, 그게 공짜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안된다.
모든 돈에는 주인이 있다.
그곳에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투자는 절대 공짜돈이 아니다.
단서를 달고 있는 돈이다.
개인돈 쓰듯이 쓰면 감옥간다.
공금횡령이다.
CEO는 돈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왜 그 돈이 필요한지 그걸로 뭘 해야 하는지 잘 알아야 한다.
그 이야기를 해보자.
100%성공하는 사업이라면
투자는 왜 받을까?
1억 투자해서 매년 1,000억을 버는 사업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99%의 확률로 성공할 수 있다고 해보자.
그런데 수중엔 5,000만원 밖에 없다.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1안)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5,000만원을 투자받는다.
2안) 은행으로부터 5,000만원을 빌린다.
당연히 2안이다.
99% 확률로 성공할 게 확실한데
굳이 남과 수익을 나눌 필요가 있을까?
자, 그렇다면 성공확률을 60% 로 낮춰보자.
실패확률이 40%나 된다.
선뜻 은행돈을 빌릴 수 있을까?
아니다.
실패할 때 생길 빚이 부담된다.
그런데 ‘나는 400억만 벌어도 되.’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위험률을 낮추기 위해 권리 60%를 포기하는 것이다.
그러면 다른 사람을 그만큼 참여시킬 수 있다.
이게 투자 받는 기본개념이다.
물론 현실 투자는 훨씬 더 복잡하다.
투자란 성공은 큰데 실패위험이 높아서
자본을 십시일반으로 모으는 거다.
단, 나누어 먹을 만큼 충분히 열매가 크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다.
이 기본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게 "CEO의 숙제"이기 때문이다.
CEO의 숙제
사업을 진행시키려면 투자금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투자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화려한 미사여구가 아니라 현실매출 1,000억원 짜리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그것이 첫번째 숙제이다.
그래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말이 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비전으로만 끝나면 안된다.
미사여구가 아니라 그림이 동작한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투자가들이 안심하고 돈을 넣는다.
조직을 만들고 제품을 찍어서 시장에 팔아야 한다.
돈을 벌어야 한다.
어렵다.
금방 되지 않는다.
이것이 두번째 숙제다.
현실적인 추진력이 있어야 한다.
그림 그리는 건 혼자 되지만,
실현시키는 건 혼자 안된다.
사업을 시작할 때만 투자가 필요한 건 아니다.
돈을 벌고 있지만 사업확장을 해야할 때가 있다.
개발팀을 늘리고 광고비를 집행해야 한다.
일정기간동안 경쟁사와 출혈경쟁을 하기도 한다.
이럴 땐 목돈이 필요하다.
목돈을 어떻게 써서 무얼 얻을지 설명해야 한다.
그게 회사가치를 뻥튀길 수 있어야 한다.
은행에서 대출받을 것인가, 투자 받을 것인가?
권리를 나눌 수 있다면 투자가 좋고,
혼자 먹을거라면 대출을 받아야 한다.
물론 돈의 규모와 담보능력에 따라 상황이 복잡해진다.
현실은 훨씬 더 복잡하다.
이유없는 돈 없다.
어쨌든 투자는 이유를 달고 들어온다.
그 "이유"는 CEO의 숙제가 된다.
생산능력을 높이기로 했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마케팅비에 쓰거나 복지비로 쓰면 안된다.
물론 정해진 법이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투자자를 속인다면 다음 투자가 없어진다.
목돈이 필요할 때 목돈을 얻을 수 없다는 뜻이다.
사업을 확장시킬 수 없다는 뜻이다.
아직 사업이 많이 커야 한다면,
이건 굉장히 곤란한 상황이다.
즉, 투자는 사업에 필요한 돈을 조달하기 위한 자본주의 제도 중의 하나이다.
유무형의 결과를 만들기 위해,
투자자는 자본으로 사업에 참여한다.
투자유치는 분명 CEO의 훌륭한 능력이다.
하지만 돈은 반드시 숙제와 함께 따라온다.
100억을 받아 200억짜리 기업으로 만들기로 했다면,
그 목표를 위해 달려야 한다.
투자유치는 꿈을 파는 행위다.
따라서 아무 목표없이 투자계획서를 들고 다니면 안된다.
투자계획서란 창업주의 꿈을 파는 거다.
거기엔 어떤 꿈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단계별로 이루어나갈 것인지,
그 꿈을 이루고 나면 어떤 열매가 열리는지
상세하게 기술해야 한다.
논문을 쓰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투자자를 설득시킬만큼 써야 한다.
다른 회사가 큰 투자를 받았다면
부러워하지만 말고 뭐하려는지 생각해보자.
뭔가 큰 변화를 하려고 돈을 받은거다.
그게 나한테도 기회가 될지 생각해보자.
끝.
'멘토링 > 사업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여 제품 저관여 제품, 제품을 이해하자. (2) | 2019.02.22 |
---|---|
호미가 아마존에서 대박이라고? (0) | 2019.02.21 |
페르소나, 서비스 기획의 출발점 (0) | 2019.02.07 |
우리나라는 실리콘밸리가 아니다. (0) | 2019.01.26 |
창업에 대한 나의 세계관 (0) | 2019.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