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준비

시장분석 : 2022년 네이버 결산 (블로그, 엑스퍼트, MY플레이스)

by 회색연필 2022. 12. 28.

네이버가 블로그를 필두로 자기네 서비스 몇개를 결산했다.
주욱 흝어보니 눈여겨볼만한 숫자들이 보인다.

CTO 나 CEO 들이 한국시장 경시하는 풍조가 있다.
막연한 감각으로 접근하는 거 아니다.

숫자를 파악해두는 건 생각보다 중요한 일이다.
대충이라도 익히자.

사업전략이 서비스의 복잡도를 결정하고,
서비스의 복잡도가 서버, 웹 등의 복잡도와 기술구조도 결정한다.
중요한 결정을 할 때 굉장히 큰 도움이 된다.

숫자를 주욱 보면서 덧글들을 붙여 보았다.
메인 사이트는 여기다.

※ 네이버 연말결산(2022년) : https://campaign.naver.com/2022-year-end/

1. 네이버 블로그

※ 블로그 리포트 : https://campaign.naver.com/2022blog/blogreport/

1.1. 주요 연령대

네이버 블로그는 시작한 지 19년이나 된다.
올해 8월 앱분석 회사에서 내놓은 통계자료다.
6월 한달 앱 사용자는 319만명.

잘 와닿지 않는다면, 319만명 유튜브 채널처럼 생각해보자.
20대가 34%, 30대가 23%, 40대가 19%, 50대가 16%다.
늙어가는 서비스로 생각했는데, 뭔가 회귀한 느낌이다.

20대가 많아진 건, 일기장처럼 블로그를 이용하기 때문이란다.

1.2. 주간일지 챌린지

네이버 블로그가 발빠르게 대응했다.
 "주간일기 챌린지" 이벤트를 열었다.
경품이 맥북, 아이패드였다 보니까, 10 대들의 반응이 높았다.

유튜브처럼 생각해보면 유저수 103만은 꽤 큰 유저군이다.
기획자의 정책에 Active 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103만명이라는 뜻이니까 꽤 큰 Marketing Power 를 증명한 셈이다.
글로벌 서비스에 비할바는 못되지만...

3개월 챌린지에 성공한 블로거가 28만명인데, 이 정도면 Retention Rate 도 높은 셈이다.
보통 앱의 한달 Retention Rate 는 5% 정도다.
28만명이 단순 가입자라면 Retention User 수는 14,000명 밖에 되지 않는다.
광고 하나 올렸는데, 봐주는 사람이 14,000 명 밖에 되지 않는다면 정말 볼품 없다.

1.3. 새로운 참여자

덕분에 10대, 20대 유저수가 쑥 늘었다.
30,40대도 꽤 반응한 걸 보면, 블로그는 이제 일기장처럼 일상을 기록하는 매체로 정체성을 바꾸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사실 유튜브는 파급력이 큰 반면, 컨텐츠 생산의 허들은 높기 때문에, 10대 20대가 돈맛을 보기에는 어렵다.
기획력도 필요하고,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유튜브는 30대가 10대, 20대가 소비하는 컨텐츠를 만드는 시스템으로 굳어가고 있다.

네이버 블로그가 10대들에게 적당한 보상(문화상품권, 포인트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만 있다면,
새로운 세대를 유입시키는데 꽤 효과적이라고 본다.
하지만, 그들이 만들어 내는 컨텐츠의 Quality 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좀 고민해야 할 주제 같다.

1.4. 주간일기 참여자

주간일기의 허들은 낮은 편이었기 때문에,
여기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은, 바쁘거나 이미 블로그에 초탈해버린 사람들이다.
즉, 네이버 블로그의 핫한 사용층은 아니라고 봐도 된다.

네이버 블로그의 주력층이 20대로 넘어왔다는 건,
미래 고객층을 확보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꽤 긍정적으로 보인다.
다만, 요즘 인구수는 4050이 높아서기 때문에 컨텐츠 생산층과 소비층이 일치하지 않는 측면은 있음.

참고로, "네이버 블로그 마켓"의 구독자가 17,000명 정도인데, Active Seller 수를 대충 이 정도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지금 2030은 네이버, 쿠팡을 선호하고 있으니, 머지 않아 쇼핑은 네이버로 다 넘어가지 않을까 싶다.

1.5. 연령대별 관심사

1.5.1. 10대

10대라면 초.중.고등학생을 말한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명확하다.
연애사가 적기 때문에, 성별 차이가 뚜렷하다.
전체적으로 예측한 것과 비슷하게 나온다.

다만, 남학생들 관심사가 편의점이라는 건 좀 짠하다.
요즘 10대들이 편의점을 찾는 건 간편식, 음료수 때문이다.(관련기사)
집밥의 역할을 편의점이 가져간거다.

1.5.2. 20대

여행에 대한 주요 관심층은 20대 남성, 여성이다.
여성은 맛집 같은 예쁘고 아담한 인스타각을 찾는 반면,
남성은 자립, 취업 등에 대한 관심사가 높다.

1.5.3. 30대

호텔, 맥주도 결국 여행이다.
캠핑도 여행이다.
여행, 여행.

블로그에는 현실을 탈피하고, 놀려는 욕망들이 가득하다.
남편, 아이에 대한 이야기는 쪼끔...

제주도 보다 부산이 많은 건 좀 의외다.
제주도는 비행기를 타야하니까 부담이 되는 반면,
부산은 KTX로도 갈 수 있으니까 그런 듯.

1.5.4. 40대

40 대의 메인테마도 "여행"이다.
다만, 즐기는 방식이 다르다.

먹고, 즐기는 게 2030의 방식이었다면,
40대는 조금 더 소비수준이 높다.

1.6. 정리

네이버는 이미 "검색" 플랫폼이 아니라 "쇼핑" 플랫폼이다.
쇼핑을 위해 뭔가를 검색하고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논문, 학문, 취업 등 사회 인프라에 해당하는 내용보다 옷, 여행, 전자기기 구매정보가 더 많다.

검색 플랫폼으로서의 신뢰도는 낮지만,
우리나라의 소비 판타지가 지향하는 바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건 분명 사업을 계획할 때 도움이 된다.


2. MY플레이스

※ My플레이스 리포트 : https://m.place.naver.com/my/year-end/2022

2.1. 서비스 개요

네이버가 제작한 지역정보 검색 및 추천서비스.
즉, POI 에 별점을 매기고, 댓글을 달아주는 서비스다.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영수증을 찍어서 입력해야 하는데, 보상으로 네이버 포인트를 준다.

영수증을 찍어서 올려야 되니까, 참여율이 저조할 줄 알았는데,
2022년 리뷰 등록건수가 2억건, 누적된 리뷰는 5억개란다.

1년 리뷰건수가 2억건이면, 하루에 50만건 이상의 리뷰가 등록된다는 뜻.
영수증 등록까지 포함하면 꽤 빠르게 데이터가 쌓인다.
리뷰 데이터는 작은 컬럼수에 row count 가 빠르게 증가하고,
텍스트를 읽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 관리 및 활용전략을 짜야 한다.

2.2. 사용자 수

올해 활동한 리뷰어는 840만명.
누적 리뷰어수는 1,100만명.
우리나라 인구의 1/5이 참여를 했다.

- 840만명이 2억건을 만들어 냈으니, 1명당 평균 23건씩 등록한 셈이다.
- 80:20의 파레토 법칙을 따를테니, 상위 10% 사용자들의 참여가 매우 클 듯.
- 즉, Heavy user 과 light user 들간의 weight 차이도 있어야 할 것 같다.
- 뭔가에 보정 알고리즘을 넣자면, 중간처리나 재처리 알고리즘을 넣어야 할 것 같은데.
- 그렇게 해서 무슨 기회를 만들어낼 것인지는 고민해봐야 할 듯.

누적키워드 360개 ("사진이 잘 나와요" 등등)

- 누적키워드는 기획진이 유의미한 내용을 잃지 않는 수준에서 카테고리 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다.
- 360개면 비교적 잘 선방한 거다. 잘못 관리하면 엄청 늘어나는데 그러면 다시 검색을 해야 한다.
- 이런 유형으로 리뷰의 특성이 특징지어진다는 거다.
- 이건 비즈니스 활용도를 결정짓는다.

2.3. 리뷰건수

리뷰 작성된 곳 200만 곳
누적 리뷰수가 5억개.
 

우리나라 소상공인 기업수가  680만개니까 약 30% 정도가 리뷰되고 있다.

- 업체 하나당 25개 정도의 리뷰가 달렸다는 뜻.
- 이것도 파레토 법칙일테니, 인기있는 곳과 업는 곳은 확연하게 갈릴 듯.
- 200 만개의 컬렉션을 유지하는 건 생각보다 Cost 가 높진 않다.

- 초기 데이터는 어디서 구할까?
- POI 초기 데이터는 대부분 전화번호부에서 구한다.
- 그리고 전화번호부는 돈을 주고 사야 한다.

- 2020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창업이 연간 150만건, 폐업이 연간 90만건 정도 된다.
- 즉, 전화번호부는 한 번 퍼오는 걸로 안되고, API 연동을 통해 월 이용료를 내는 방식으로 현행화를 받아야 한다.
- 이런 서비스는 폐업된 가게의 리뷰정보도 중요하므로, 삭제처리해선 안된다.

- 이런게 Search 를 위한 Server Cost 로 다가오며,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짤 때 충분히 고려하고 개발해야 한다.


3. 엑스퍼트

※ eXpert 리포트 : https://m.expert.naver.com/mobile/expert/event/thirdAnniversary

3.1. 개요

전문가를 매칭해주는 유료서비스다.
네이버에서 꽤 정성을 들이고 있는 서비스인만큼, 유사한 국내서비스의 구매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2019년, 3개 상담분야로 시작했다.
현재 상담분야가 96개이다.

지난 3년간 누적거래건수 : 200만건
1억원 이상 매출 : 36 명

네이버라는 이름값이나 증가세를 감안하면 생각보다는 더딘 편이다.
올해 연간 120만건이라고 가정해도, 한달의 거래규모가 10만건 밖에 되지 않는다.

3.2. 지난 3년간 가장 인기 있던 분야

1위 : 운세
2위 : 타로
3위 : 세무사
4위 : 마음건강
5위 : 변호사

소비의 테마가 운명, 갈등 같은 것에서 초래된 것 같다.
역시 연애사가 섞여 있다.

운세 서비스나 연애상담 서비스는 인터넷으로 소비하기 가장 좋은 콘텐츠다.
정답이 없기 때문에, 정답을 주는 게 목적이 아닌 서비스다.
안정감, 예측 스토리 등등 호기심을 채워주고 미래를 알게 되었다는 예측감을 주는 게 핵심이다.
상품을 구성할 때 참고하자.

세무사, 변호사 등은 끊이지 않는 주제다.
이건 정답이 있고 자격증이 있는 전문가들만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시민들 입장에선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라, 문턱을 낮춰주는 게 포인트다.
하지만, 문턱을 낮추는 게 전문가에게 얼마나 필요한 일일지는 고민해봐야 할 듯.

3.3. 연령대, 관심사

20대, 30대가 구매층이다.

관심사는 20대 여성은 MBTI, 남성은 IT/노하우다.
여성은 사람과의 관계나 연애사 등에 고민하고,
남성은 고가의 장난감을 지르고 갖고 노는 것에 고민한다는 걸 알 수 있다.

30대는 부동산이다.
생존, 재테크, 미래에 대한 불안 등이 녹아 있다.
올해는 부동산 이슈에 힘 입어 정권이 바뀐 해이다.

40대 고민의 핵심은 대학, 입시이다.
교육의 메인은 "입시"이며,
교육의 메인 구매층은 "40대 여성" 이라는 걸 알 수 있다.

3.4. 재구매율

재구매율이 높은 것은 다시 물어볼 필요가 많고,
가격이 높지 않아서 쉽게 손이 간다는 뜻이다.

1위는 타로카드, 2위는 연애, 3위는 영어이다.
타로카드나 연애는 같은 맥락이다.

관심사가 끊이질 않고, 매번 의심이 들며, 항상 미래가 불안한... 그런 분야이다.
상품가격이 낮다면 금방금방 손이 가는 그런 서비스다.
매력적이긴 한데, 레드오션에다 경쟁자가 많아서 상품을 만들기 쉽지 않다.


4. 요약

4.1. 네이버 블로그가 19년이 지났다.
채널로서의 파워는 유튜브에 한참 못미친다.
그런데 명실공히 나름 국내 1위 서비스다.
만일 성격이 블로그 비슷한 서비스를 기획했다면, Max 시장이 어떤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4.2. MY플레이스 서비스는 대표적인 "여행서비스"다.
"구글 지도앱"을 굉장히 많이 벤치마킹 했고, 국내에서만큼은 Trip Advisor 등을 넘어섰다.
다만, 국내 서비스인 만큼 Inbound 로 들어오는 외국 여행객수는 커버하지 못한다.
참고로 Inbount 여행객수는 얼마나 될까?
코로나 이전 한창 잘나갈 때는 한해에 2,000만명에 육박했다고 한다.
좀 아깝다.

4.3. "엑스퍼트" 서비스는 유료상담 서비스다.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기 때문에 시장을 만들기 어려운 분야다.
반명 O2O 나 커뮤니티 서비스로 꾸준히 플랫폼화하고 싶은 영역이기도 했다.
하지만 네이버가 3년간 공들인 결과가 이거라는 걸 잘 봤으면 좋겠다.
즉, 일을 풀어내는 서비스 알고리즘이 약하다는 생각이 든다.
네이버 기획자 정도면 충분히 훌륭한 사람일거다.
그러니 노력이 약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해답이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4.4. 서버 and 개발
데이터량이 축적되는 속도, 트랜잭션의 복잡도, 서비스 전략의 변화, 실험적인 타겟시장 등을 생각하면, 
전체적인 아키텍쳐 구조나, 어플리케이션 설계 등이 유연해져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유연해지다보면 개발속도나 비용은 둔해질 수 있다.
이걸 잘 관리하지 않으면 복잡도를 잡지 못해서 늘어나는 고객에 대처하기 힘들다.
좋은 CTO와 잘 훈련된 개발팀이 필수다.

4.5. 스타트업을 희망한다면.
"저 정도 수준일 때 저 정도의 복잡성을 맞이하게 되는구나."
... 라는 걸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한다.

초보 개발자 2-3명 데려다가 저런 거 해결하라고 Push 해봐야 답이 안나온다.
시작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사이즈가 커지면 여전히 어려운게 사업이다.
IT 라고 다르지 않다.
만만하게 보지 말고, 벽에 부딪히면 계속 물으면서 활로를 찾자.

FIN.

반응형

댓글